본문 바로가기
국어교육 읽기

고려가요에 대하여

by 영혼의환 2014. 1. 8.

고려가요에 대하여


정의

1. 고려 때 서민, 평민들이 구전시키던 민요를 궁중에서 일부 개편하여 궁중 속악으로 부른 노래

2. 속요, 고려장가, 고속요라고도 부름

3. 고려 때 구전되다가 조선에서 훈민정음 창제 후 국문으로 표기


형식

1. 표기 방법 : 국문 표기 (악학궤범, 시용향악보, 악장가사)

2. 분절체 작품이 다수를 이루고 있음

3. 3음보 율격이 주류를 이룸

4. 분절마다 후렴구가 붙음 : 운율 형성에 기여

5. 여음(조흥구)이 삽입됨 : 운율 형성에 기여


내용

1. 남녀간 사랑, 자연 예찬, 이별의 아쉬움 등 고려 평민의 진솔한 인간성을 담고 있음

2. 현세적, 향락적, 애욕적, 퇴폐적 경향이 있음 (조선 한학자들에 의해 비난받음)


의의

1. 우리말 사용과 표현의 소박성, 함축성, 꾸밈없는 생활 감정의 표현

2. 음악적으로 경쾌한 리듬을 잘 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