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삼형2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과 사고> 국어과 교재와 사고력 요약 1. 국어과 교재의 본질 교재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업 과정에서 동원하는 일체의 자료를 가리킨다. 이러한 자료들은 교수-학습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고, 교육과정의 내용을 담으며 교사와 학습자가 지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상일 때 교재로써 작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대체로 ‘교재’하면 곧 교과서를 뜻했고, 교과서는 모범적인 글들을 모아놓은 자료집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사고 중심의 국어교육관을 취한다면 교과서의 성격도 “언어와 관련하여 학급자의 다양한 사고 및 활동을 자극하고 안내하는 교과서”로 바뀔 것이다. 이러한 사고 활동 자극을 하는 교재는 문자 교재-일반 적인 교과서- 뿐만 아니라, 음반, 그림, 지도, 사진, 영화, 비디오, 애니메이션과 같은 비 문자 교재도 있을 것이다. 과거의 교재.. 2010. 12. 15.
사고 중심의 국어교육관 이삼형,『국어교육학과 사고』 -국어교육의 내용 Ⅰ. 언어적 사고의 본질과 국어교육 사고는 언어 및 언어문화 지식과 사용 전략을 바탕으로 하면서, 지식이나 경험과 관련하여 크게 인지적 사고, 정의적 사고, 상위인지의 네 가지가 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언어적 사고력의 구조를 바탕으로 사고력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은 다음과 같이 나아 가야할 것이다. 첫째, 언어 발달과 사고력 발달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이들의 상호 관련성에 대한 고려 없이는 국어 능력의 발달을 기하기 어렵다. 둘째, 인지 중심적 사고와 정의 중심적 사고의 통합성을 구현해야 한다. 사실상 두 영역 사이에는 경향성의 차이만 있을 뿐 본질적인 차이를 찾기는 어렵다. 셋째, 심층적인 의미 구성 중심의 국어교육관이 구현되어야 한다. 의미 구성.. 2010. 5.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