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정1 이육사의 시 세계-절정, 교목, 청포도를 중심으로 이육사의 시세계 1. 총론 이육사는 몇 편을 제외하고는 그렇게 작품성이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여타 시들이 중요시되는 이유는 그의 치열한 삶 때문이다. 삶은 시이다. 시 분석은 시인의 정신을 읽어낼 수 있는 좋은 소재가 될 수 있다. 육사의 시인 정신에 대한 논의 대상은 「절정」과 「교목」,「광야」,「꽃」,「청포도」이다. 그의 정신 세계가 다섯 편의 절창 속에 구현되어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절정」의 하늘, 「교목」의 호수는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는 한계 지점이다. 「절정」이나 「교목」은 하늘로의 초월, 호수로의 투신으로 미래에 대한 대안 대신 초월하게 된다. 「청포도」는 ‘손님’으로 미래에 대한 대안이 제시된다. 그의 신념이 비로소 여기에 처리되고 있다. 2. 「절정」 매운 계절의 챗죽에 갈.. 2010. 5.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