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포츠 읽기

아르헨티나전 석패

by 영혼의환 2010. 6. 18.
석패로 봐야하는 대패.

경기 시작 전
허정무호의 잠그기 전술의 상징이라고도 할 수 있는 4-2-3-1전술을 내세웠다. 이 전술엔 불만이 없다. 이번 월드컵에선 약체팀들이 강팀을 상대할 때 전형적인 수비 전술을 펼치는게 대부분이었고, 그걸로 득을 본 팀들도 있으니까.

전반전 2:1
전반전의 문제점은 스페인과의 평가전 때 보였던 것과 동일했다. 폭 넓은 공격 전개는 없고, 미드필더에서 공격 전개 작업을 수행하기 보단 중앙 앞으로 길게 찔러 넣는 뻥축구에 가까운 모습으로 공격이 이루어졌다.
수비는 대체적으로 협력수비가 잘 이루어진 모습이었지만, 역시나 문제는 상대의 빠른 패스 타이밍과 개인기 앞에선 무너져 내리는 모습을 보였단 것이다.
또한 마라도나 감독의 용병술과 전술이 눈에 띄게 좋아진 점도 전반전을 어렵게 가져가게 된 원인이었다.
메시를 2선에 세우고 테베즈에게 프리롤에 가까운 움직임을 주문한 것이 주효했다. 테베즈가 자신의 위치보다 아래로 내려 오면서 미드필더진과 개인기, 패스워크를 적절히 섞은 경기 운영을 보여주고, 메시는 그 패스를 이어받아 공격하는 모습은 종래의 메시 일변도의 아르헨티나 모습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었다.

그래도 전체적으론 우리 수비진이 이를 잘 컨트롤하며 막아냈지만, 문제는 역시 전혀 예측하지 못한 첫 실점에 있었다.
박주영의 자책골...
변수에도 없었던 상황에 선수들은 우왕좌왕했고, 이때문에 공격전개는 더욱 매끄럽지 못했다.
(박주영을 비난할 마음은 없다. 선수는 누구나 한번쯤 그런 일을 어이없게 저질러 버리고 만다. 다만... 너무 의외였을 뿐...)

그나마 종료 직전 이청용의 만회골이 있었기에 후반전이 기대되는 상황이었다.

후반전 2:0
후반시작과 동시에 김남일이 피치에 나타났다. 기성용과 김남일의 교체는 무척 적절했다.
기성용은 분명 좋은 선수지만, 수비에서 공격으로 전환할 때 볼 배급 능력은 아직 가다듬을 필요가 있는 미완의 대기다.

김남일의 가담으로 수비의 터프함은 유지하면서 공격 작업은 효율적으로 바뀌었다.
후반 초중반의 흐름은 분명 우리것이었다.
미드필더진은 더이상 박주영의 머리만을 노리지 않았고, 아르헨티나의 공격에도 효율적인 협력수비가 발휘 되었다.

그러나 골이 터지지 않았다.
축구는 흐름의 경기다. 그리고 그 흐름을 제대로 이어가지 못하는 팀은 실점하게 되는 것이 축구의 법칙이다.
후반 마지막 찬스였던 염기훈의 슛이 빗나가면서 모든 흐름은 다시 이르헨티나에게 넘어갔다.

후반 종반의 2실점을 이야기하려면 김정우와 염기훈, 그리고 이동국의 교체를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후반전 중반까지 골을 넣지 못하면서 우리가 잃은 것은 다름 아닌 김정우였다.

염기훈의 아까운 찬스를 기점으로 김정우의 체력이 다했다.
염기훈의 슛이 나올 무렵부터 김정우는 다른 때완 달리 상대와의 몸싸움에서 밀리거나 볼 컨트롤 미스, 그리고 걷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예전부터 김정우의 체력은 후반들면 급격하게 떨어지는 모습이 자주 목격되었다. 특히 고지대였던 점, 후반 거세게 공격을 몰아 붙일 때 그때마다 공수 양변에 걸쳐 모습을 니타내던 김정우의 체력이 한계에 달한 것은 분명했다.

김정우의 교체가 절실한 순간이었지만, 허정무는 이동국 카드라는 쌩뚱맞은 카드를 꺼내 들었다.
이동국 선수 자체에 대해서는 긍정도, 부정도 할 수 없다. 그가 어떤 모습을 보여 주기엔 시간도 짧았고, 흐름도 우리것이 아니었으니까.

문제는 그 교체 자체에 있다.
지난 그리스전 이후로 허정무에 대한 내 시선은 무척 우호적으로 바뀌었지만, 여전히 그의 용병술에 대해선 의문을 가지고 있다.
분명 그 시점은 중앙 미드필더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었지, 박주영의 교체가 필요한 시점이 아니었다.
꼭 박주영의 교체가 필요했다 하더라도 여전히 교체 선수 자리 하나가 남은 시점이었다.
허정무는 늘 교체 카드 하나를 남겨두는 버릇이 있다.
그건 우리 아스날의 교수님도 마찬가지지만, 그렇게 해야 할 때와 하지 않아야 할 때는 분명 다르다.
이동국 교체보다 5분 일찍 피치 위엔 교체가 필요했고, 그 교체는 김정우에 대한 것이었다.

염기훈에 대한 이야기는 염기훈이라는 선수의 플레이 스타일에 관한 것이다.
염기훈은 뛰어난 테크니션이다. 아시아챔피언스리그 우승팀의 주역다운 돌파력이 있는 선수다. 다만 그 돌파력은 팀 스피드를 희생하면서 얻어지는 돌파력이란 것이다.
염기훈은 자신의 측면에 있는 수비는 능수능란하게 떼어내지만 자기 앞에 있는 수비를 만나면 제자리 돌기같은 개인기를 반복하며 공격 템포를 잡아먹는다.
템포가 늦어지니 그만큼 효율적인 역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결국 이과인에게 해트트릭을 안겨주며 우리는 4:1로 패했다.

총평
스코어상으론 대패지만, 난 이 경기를 석패로 규정하고 싶다.
지금 우리는 1승1패 승점3점에 득실-1의 상태다.
아마도 허정무 감독도 득실0정도면 성공적인 경기라고 생각하고 전술을 펼쳤을 것이다.
-1의 득실은 마지막 경기에 따라 충분히 만회가 가능하다.
그리고 우리의 상대는 한국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아프리카팀이다.
여전히 16강은 우리에게 더 가까이 있는 상태다.

에피소드
경기 시작 전 마라도나가 자신의 선수들에게 일일이 입맞춤하는 것을 보며 그가 전술적인 면에선 다른 팀의 감독들보다 떨어질지 몰라도 선수단 전체를 컨트롤하는 데엔 뛰어난 감독일 수 있단 느낌을 받았다.
정말 선수와 아르헨티나를 사랑하고 있단 느낌이 가득했다.

더불어 관중석에 나타난 신의 손 응원도구는 날 빵 터지게 했다.

다음 경기 예측
공격적인 4-4-2의 부활.
수비라인엔 변화없이 미드필더는 이청용-김정우-김남일-박지성, 공격진은 박주영, 이동국(승렬).
하지만 박주영 이동국을 같이 쓴 예가 드물어 그냥 4-3-3으로 갈 확률도 높다.


iPod 에서 작성된 글입니다.

'스포츠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지리아전 중간  (0) 2010.06.23
B조 개싸움 돌입...  (0) 2010.06.18
귀중한 1승!!  (0) 2010.06.13
<야구> 투수에게 필요한 요소  (0) 2010.05.12
나도 투수가 되고 싶다  (0) 2010.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