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읽기8 순수에서 경향까지― 이태준의 문학세계 순수에서 경향까지― 이태준의 문학세계 9조: 전oo, 정oo, 정oo, 정oo Ⅰ. 들어가며 이태준. 호는 상허(常虛)·상허당주인(尙虛堂主人). 1921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조치대학[上智大學] 예과에서 공부했다. 귀국한 뒤로는 이화여자전문학교 강사, 〈중외일보〉·〈조선중앙일보〉 기자로도 활동했다. 1933년 구인회 회원으로 가입했고, 1930년 말에는 〈문장〉의 소설 추천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최태응·곽하신·임옥인 등을 배출했다. 8·15해방 후 정치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임화·김남천 등과 조선문학건설본부를 조직하여 활동하다 월북했다.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 부위원장, 국가학위수여위원회 문학분과 심사위원 등을 역임했다. 1947년 방소문화사절단의 일원으로 소련기행에 나섰고, .. 2010. 4. 25. 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朝鮮Proleta藝術家同盟) ※1925~35년에 활동했던 진보적 문학예술운동단체. 약칭은 카프(KAPF : 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로 이는 에스페란토어에서 따온 것이다. 3․1운동 이후 노동자계급을 비롯한 민중을 민족해방운동의 본 문인들이 문학도 프롤레타리아 해방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목적으로 조직된 문예운동단체이며 소련의 라프(RAPP), 중국의 중국좌익작가연맹(左聯), 일본의 나프(NAPF)와 뜻을 함께하는 단체이다. 1. 성립과정 1921~22년 각종 신문이나 잡지에 민중문예․생활문예 등의 필요성과 러시아의 새로운 문학론을 소개하는 글이 많이 발표되었는데, 이 글들은 이전의 낭만적․퇴폐적 문학에 대한 비판과 문학의 계급성에 대한 소박한 인식을 보여준다. 이러한 인식은 1922년 9월경에 조직된 .. 2010. 4. 25. 온다 리쿠, 『네버랜드』, 미디어, 2006. 내 잘못된 글읽기 방식이겠지만, 난 베스트셀러를 읽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사람들이 “아, 요즘 그 책이 좋다고 하던데…… 읽어 보셨어요?”라고 물어보면 “그런 종류의 책은 별로 좋아하질 않아서 아직 안 읽어봤네요.”라고 답한다. 하지만 실제론 도서 구입 목록에 써 뒀지만 어느 순간 그 책이 베스트셀러가 되면서 구입 목록에서 쏙 빼 버린 것이다. 그리고 나중에 그 책의 열기가 사라지면 그제야 그 책을 사는 것이다. 베스트셀러를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그저 너무 많은 사람들이 책을 읽은 만큼 그 책에 대한 이야기가 많고, 그러다보니 내 나름의 생각을 가지지 못한 채 남들이 생각하는 만큼에서 감상을 정지해 버리는 게 싫을 따름이다. 최근에 그런 식으로 구입목록에서 밀린 책은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악.. 2010. 4. 22. [낭만적 사랑과 사회] 정이현의 독특한 풍자 기법 정이현의 소설은 언제나 톡톡 튄다. 그녀 소설에서 화자는 대개 여성이며 그녀들은 여성적인 목소리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한다. 스스로를 “내츄럴 본 쿨 걸”이라 부르는 것에서부터 인간 정이현의 개성이 느껴진다. 과연 누가 자신을 저런 말도 안 되는 콩글리시로 칭한단 말인가! 하지만 그녀의 소설을 읽다보면 어느새 정이현이라는 “내츄럴 본 쿨 걸”을 한번쯤 만나보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다. 그만큼 그녀의 문체는 개성이 넘친다. 같은 여성작가인 정미경은 독자를 압도하는 문체와 주제의식으로 그녀가 하고자 하는 이야기를 전달한다면, 정이현은 소녀 같은, 애인 앞에서 애교를 부리는 듯한 재기 발랄하면서도 대로는 시크(chik)한 목소리로 이야기 속에 독자를 끌어들인다. 그런 그녀의 이야기 솜씨는 『낭만적 사랑과 사.. 2009. 6. 29.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