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교육 읽기23 수능 언어영역 40가지 유형 원 저작자 : 참사랑국어 ID 잭나리 추가 편집 : 바다를 건너는 나비의 날개짓 2011. 3. 3. 박수자, 『읽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요약 제3장. 읽기 교재의 구성 1. 교재의 구성 교육은 항상 교육관에 따라 교육의 내용과 방향이 결정되어 왔다. 지금껏 교육내용은 크게 ‘필요’를 중심으로 하거나, ‘지식’을 중심으로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해 왔다. 전자는 사회 또는 개인의 생활의 필요에 비추어 교육내용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가와 관련이 되고, 후자는 인간(학생)의 사고 형식에 있어서 그것을 조사하는 기준에 합당한가와 관련된다. 경험중심 교육과정은 교육적 가치가 개인과 사회의 필요엥 의해 인정되고,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교육내용의 가치를 내용 그 자체의 학문적 가치에 의해 정당화 한다. 이 때 학문의 내용은 지식의 형식 또는 지식의 구조에 의해 성립되며, 이것이 바로 내용 선정의 기준이 된다. 언어교육은 내용교과가 아니기 때문에 명제적 지식.. 2010. 12. 19. <온달전>을 통해 본 설화의 서사구조와 전승 양식 이영수, 「한국 설화 연구」, 한국학술정보(주), 2008. Ⅰ. 1. 설화의 서사구조적 특징 설화는 구전된다. 설화의 구전은 일정한 몸짓이나 창곡과 관계없이 보통의 말로써 이루어지는데, 이것은 이야기의 구조에 힘입어 가능하게 된다. 설화의 구전은 구절구절을 완전히 기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고, 핵심이 되는 구조를 기억하고, 이에 화자 나름의 수식을 덧보태서 이루어진다. 설화는 구전에 적합하도록 단순하면서도 잘 짜여진 구조를 지니며, 표현 역시 복잡하지 않다. 설화는 구전된다는 특성으로 말미암아 보존과 전달 상태가 가변적이다. 그러므로 한 유형의 이야기일지라도 사람에 따라 그 내용이 조금씩 다를 수밖에 없다. 심지어는 같은 사람이 같은 유형의 이야기를 하더라도 경우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이야기된다. .. 2010. 12. 19. 이삼형 외, <국어교육학과 사고> 국어과 교재와 사고력 요약 1. 국어과 교재의 본질 교재란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업 과정에서 동원하는 일체의 자료를 가리킨다. 이러한 자료들은 교수-학습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고, 교육과정의 내용을 담으며 교사와 학습자가 지각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상일 때 교재로써 작용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대체로 ‘교재’하면 곧 교과서를 뜻했고, 교과서는 모범적인 글들을 모아놓은 자료집으로 이해되어 왔다. 하지만 사고 중심의 국어교육관을 취한다면 교과서의 성격도 “언어와 관련하여 학급자의 다양한 사고 및 활동을 자극하고 안내하는 교과서”로 바뀔 것이다. 이러한 사고 활동 자극을 하는 교재는 문자 교재-일반 적인 교과서- 뿐만 아니라, 음반, 그림, 지도, 사진, 영화, 비디오, 애니메이션과 같은 비 문자 교재도 있을 것이다. 과거의 교재.. 2010. 12. 15. 이전 1 2 3 4 5 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