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28 <야구> 투수에게 필요한 요소 1. 투수에게 필요한 요소 게임의 승패를 크게 좌우하는 것. 그것은 투수이다. 물론 그 이전에 좋은 지도자를 만나 훈련하는 것이 더욱 유익한 방법일지도 모른다. 한 사람의 투수로는 계속되는 시합을 치르기란 여간 벅찬 일이 아닐수 없다. 적어도 한 경기를 치르기 위해서는 최소 2-3명의 투수가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 투수에 적합한 사람은 누구인가? (1) 체력이 강한 사람 (2) 머리가 똑똑한 사람 (3) 냉정한 상황을 항상 생각하는 사람 (4) 정신력이 강한 사람 특히 (2)(4)요소는 적어도 꼭 갖추어야 할 기본요소라고 생각된다. 이기고 싶은 마음을 위해 1명의 에이스에게 부담을 주는 것은 매우 위험한 발상임에는 틀림 없지만 알면서도 눈앞에 승부에는 어쩔수가 없는 게 승부의 세계이다... 2010. 5. 12. 최지현ㆍ서혁 『삶과 화법』 집단화법 부분 요약 제 12장 집단 화법 학습목표 - 토의ㆍ토론의 특성과 구실을 안다. - 토의ㆍ토론의 준비 절차와 방법, 주요 요력을 익힌다. - 토의ㆍ토론의 다른 상황에 실제 적용하고 평가할 수 있다. 많은 분야에 있어서 주어진 문제에 대한 이해관계가 상충되는 의견이 나오는 것이 인간 사회이다. 그러한 경우에는 서로 각자의 의견을 충분히 개진(開陣)하여 서로를 이해하고 설득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우리는 주어진 문제를 공동으로 쉽게 해결할 뿐만 아니라, 각자의 경험과 지식을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원만한 대인 관계와 협동 정신까지 드높일 수 있다. 민주주의가 발달한 나라일수록 이러한 방식을 충실히 거침으로써 상호간의 불신과 다툼 같은 모순을 해결하고 공동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여 왔다. 그리고 이러.. 2010. 5. 9. 향가의 세계 Ⅰ. 총론 1. 향찰, 이두, 구결 1) 향찰 향찰이라는 명칭은 「균여전」 “역가현덕분”의 최귀행 서문에 보면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우리나라는 재자명공들은 한시를 이해하여 읊조리는데 저 중국의 박학하고 덕망이 있는 선비들은 우리나라의 노래를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한문은 인드라의 구슬망이 얼기설기 이어진 것 같아서 우리나라에서도 쉽게 읽을 수 있으나, 향찰은 범서가 죽 펼쳐진 것 같아서 중국에서 알기가 어렵다. 라고 하여 향가는 향찰로 표기되었다는 것을 분명히 알 수 있다. 향찰은 중국 외래문화를 도입하는 가정에서 지명ㆍ인명ㆍ관명 등을 한자의 음을 빌어 표기하려는 극히 초보적인 문자 이용으로 자국문자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 외래문자의 도입과정에서 일어나는 자연발생적인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2010. 5. 8. 이래서 인터넷 논쟁은 싫다니까. 관련글 링크 : http://sttail.tistory.com/58 이래서 인터넷 논쟁은 싫다니까... (나도 그렇지만,) 자기가 불리하다고 생각되거나 귀찮아지면 그냥 그렇게 말해버리면 그만이니까. 앞으론 좀 자중해야지. 2010. 5. 6.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32 다음